“모든 여정이 즐거울 순 없잖아요.”


작성자 | 관리자 | 작성일 | 2021-01-04 |
---|---|---|---|
첨부파일 | 모든_여정이_즐거울_순_없잖아요.jpg | 조회수 | 2,146 |
“모든 여정이 즐거울 순 없잖아요.” - 일러스트레이터 Solma의 전시 ![]() 삶이 유독 무거운 짐처럼 느껴지는 시기가 있다. 어디로, 얼마나 가야하는지 아무도 알려주지 않 지만 그럼에도 여정은 계속된다. 살아있는 한 우리는 각자의 몫을 짊어지고 저마다 정해진 방향을 향해 걸을 수밖에 없다. 중앙동의 한 전시장에서 일러스트레이터 솔마(Solma/본명:한솔미)를 만났다. 솔마는 원주를 기반 으로, 꾸준한 창작활동을 통해 입지를 다져온 젊은 작가다. 지난 11월 13일부터 15일까지 열린 전시 Q. 전체적인 스토리텔링을 보면 고립되어있던 주인공이 또 다른 자아로 보이는 누군가를 만나서 해방되는 느낌이거든요. 전시의 기획의도가 궁금해요. 제가 2013년부터 시작한 작업이에요. 당시에 실은 많이 외롭고 우울했어요. 아무래도 그 때 감정 이 많이 반영이 된 거 같아요. 거창한 작업을 생각하고 시작한 건 아니고 낙서로 시작했어요. ‘이렇 게 낙서가 많이 모였는데 한 번 이야기로 만들어보자’ 해서 기획하게 된 거죠. 사실 작품 자체는 저 를 위해서 만든 셈이에요. Q. 면으로 작품을 접하게 되실 독자 분들을 위해 줄거리를 소개해주신다면? 항상 외로웠던 한 소녀가 있어요. 소녀가 외로움을 이겨내고 다른 존재와의 만남을 통해서 자기 의 세계를 넓혀가는 이야기를 여행에 비유를 했어요. ‘삶은 여행’이라는 이야기를 하잖아요. 작업 내내 ‘정말 그럴까?’ 하는 생각으로 진행했어요. Q. 소녀 둘이 만나 숲에서 알록달록한 꽃을 만나는 장면이 인상적인데, 어떤 뜻인가요? ![]() Q. 그림, 애니메이션, 다큐멘터리로 전시 내용이 구성됐는데 팀은 어떻게 만들어진 건가요? ‘어스 앤 클라우드’라고 드러머 양태석, 저, 한단비, 쏜콴으로 구성된 팀인데요. 이전에 양태석 님, 한단비 님과 Q. 다큐멘터리를 보면 고성 산불 현장에도 가셨더라고요. ![]() Q. 위로를 타인에게 전달해주려는데 전시 목적이 있었나요? 위로의 목적보다는 이 작품의 내용이 누구에게나 해당될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. 보편적이라는 생 각이 들었고. 이런 과정을 거치는 것이 인생의 사이클인 것처럼 느껴졌어요. 저 뿐만 아니라 다 른 사람에게도 의미가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죠. 위로보다는 공유의 차원이에요. 공감을 받고 싶 었던 것 같아요. 아마. Q. 2020년은 솔마 작가님께 어떤 해였나요? 다른 많은 분들과 마찬가지로 저도 올해 코로나 때문에 일상을 제대로 누리지 못했어요. 그럼에 도 불구하고 되게 많은 일을 했어요. 옥상영화제 기획단으로도 일을 했었고요. 애니메이션을 영화제에 출품 했는데 떨어졌어요. 그런데 운이 좋게도 한 영화사에서 연락이 와서 배급도 하게 됐어 요. 저 개인적으로는 그림으로 할 수 있는 일이 많았어요. 코로나19로 물론 힘들었지만 재밌는 일 도 많이 했고 새로운 일도 많이 해서 뜻 깊은 한 해였던 것 같아요. Q. 솔미님의 인생 여정에 있어서 지금은 어떤 시기인 것 같으세요? 글쎄요? 애니메이션으로 치자면 누구를 이제 막 만난 순간 같아요. 두 소녀가 집 안과 집 밖에서 서로 만나잖아요. 아직 별 변화는 없지만 뭔가가 일어나려는 순간이지 않을까요. Q. 조금 전 질문에서 ‘삶은 여행이다’라는 명제에 대해서 골똘하게 고민하셨다고 하셨는데 정답을 찾으셨나요? 네, 여행인 것 같아요. 생각해보면 고행도 여정이잖아요. 여행이라는 큰 보따리를 열어보면 여러 가지 것이 있을 수 있으니까요. (애니메이션 속의) 소녀들이 꽃의 세계로 가면서 끝나잖아요. 그 런데 ‘꽃의 세계가 마냥 좋은 곳일까?’ 하는 생각은 있어요. 또 다른 데로 가야죠. 결말이 아니라 하나의 여정이에요. Q. 다큐멘터리를 보면 작품활동을 통해 ‘나의 가치를 실현하고 싶다’고 인터뷰 하 셨거든요. 솔마 남께서 실현하고 싶은 가치는 뭘까요? 그냥 누군가한테 ‘그래, 네가 그런 생각을 하면서 그렇게 살아왔구나’ 하고 인정을 받고 싶어요. 인 정 욕구가 있는 것 같고. 살면서 누군가에게 긍정 받는 그런 기회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 죠. 나에 대한 긍정적인 신호. 그런 걸로 내가 사는 이유를 발견하고 싶어요. Q. 작업하시고 창작하시기에 원주는 좋은 곳인가요? 사실 그렇게 좋지는 않아요. 원주문화재단의 지원을 받아서 작업을 진행하고 전시도 열었듯이, 도 와주시는 분들이 있기 때문에 원주에서 계속 창작할 수 있는 건 맞아요. 감사한 일이죠. 그래도 여 전히 한계가 있어요. 인프라가 없다보니까, 하다못해 전시를 하려고 해도 마땅한 장소가 없는 거 죠. 또 창작하고 소비하는 순환이 되어야하는데 그런 판이 부족한 느낌이에요. 내가 잘 하고 있는건지 확인이 안 되면 의욕이 잘 안생기기도 해요. ![]() Q. 앞으로의 여정은 어떻게 흘러갈 것 같나요? 저는 계획을 잘 세우지 않아요. 이유는 딱히 없는데 흘러가는 대로 살아요. 사실 별다른 계획이 없답니다. 그래도 계속 끼적이고 있을 것 같아요. 계속 작업하다가 쉬다가, 작업하다가 쉬다가 반 복하고 있지 않을까요?
글·인터뷰 황진영
|